사찰방문 에절 ♣.사찰방문시 예절 1. 일주문을 들어서면 경건한 마음으로 법당을 향해 합장하고 반배를 합니다. ​ 2. 일주문을 지나면서는 경내이므로 뒷짐을 지거나 팔짱을 끼지 않고, 큰소리로 떠들지 안으며, 차수나 공손한 자세를 취합니다. 3. 스님과 마주치면 항상 합장 반배로 인사 합니다. ( .. 불교 이야기 2016.06.23
사철예절 ♣.사찰예절 1. 절에서 조심할 일 ① 절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익히며, 수행하는 곳으로 우리는 경건한 마음으로 예의바르게 행동해야 합니다. ② 법회(대집회)에는 빠지지 말고, 시간을 맞추고 절에 와서 스님과 대장님의 말씀을 잘 들어야 합니다. ③ 법회(대집회)를 하는 도중에.. 불교 이야기 2016.06.23
사찰방문 예절 ♣.사찰 방문시 예절 (1) 도량예절 -절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는 일주문 앞에서 합장 반배를 합니다. (일주문이 없는 절이나 포교당에서는 절 입구가 되는 지점이나 법당 입구에서 하면 됩니다.) -도량 내에서는 뛰어다녀서는 안되며 법당 정문 앞을 지날 땐 허리를 살짝 구부려 반 배하고 .. 불교 이야기 2016.06.23
초발심 자경문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 초발심 자경문이란? 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은 고려 보조국사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과 신라 원효스님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그리고 고려말 야운선사의 자경문(自警文)을 합본한 책이다. ​ 이 책은 첫 발심수행자의 지침서이며 처음 .. 불교 이야기 2016.06.23
행복을 찾는 108배 ♣.행복을 찾는 108 배 1. 내가 아는 모든 생명을 깊이 공경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2. 스스로를 낮추어 자신에게 있는 나쁜 성품을 다스리며 절합니다. 3, 내 이익을 앞세우는 이기심을 내려놓으며 절합니다. 4. 나와 남이 차별 없이 소중하고 평등하다는 마음으로 절합니다. 5. 끊.. 불교 이야기 2016.06.23
석가여래 팔상성도 ◐.釋迦如來八相成道(석가여래팔상성도) ​ 兜率來儀相(도솔내의상) 毘藍降生相(비람강생상) 四門遊觀相(사문유관상) 踰城出家상(유성출가상) 雪山修道상(설산수도상) 樹下降魔相(수하항마상) 鹿苑轉法相(노원전법상) 雙林涅槃相(쌍림열반상) 나무 아미타불 팔상성도란 부처님께서 .. 불교 이야기 2016.06.23
십지보살 ♣.십지보살(十地菩薩) 십지는 화엄경에서 수행(修行)계위(階位)로서 42위부터 52위까지를 말한다. 십지는 모든 수행을 끝내고 이제 보살로서 마지막 수행의 단계로 모두 이루어야 하는 계위이다. 1. 환희지(歡喜地) 환희지란 일체 사물을 보고 환희할 수 있으며, 도의 근본을 보아 기쁨 가.. 불교 이야기 2016.06.23
부처님 십대 제자 ◐.부처님의 십대제자 ​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서 성도하신 이후 사라쌍수 아래서의 입멸에 이르기까지 그 제 자는 수 없이 많았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특히 열 명의 고명한 제자가 있었으니 이를 석 가십대제자, 석가십성, 혹은 십대제자라고 한다. 이들 십대제자는 부처님의 가르.. 불교 이야기 2016.06.23
종교란 ♣종교란 무엇인가? 지구상에는 다양한 민족이 고유의 문화를 이루며 어울려 살아왔다. 그래서 민족과 문화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교가 생겨났다. 종교의 일반적 정의와 불교에서 말하는 종교에 대해 알아보자. 종교(宗交)란 한자 뜻 그대로 풀면 최고의 가르침, 인생과 세상에 대한 궁..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교는 어떤 종교 ♣.불교는 어떤 종교인가? ​ 과연 부처님이 오랜 수행 끝에 깨달으신 것은 무엇이며 감히 우리같이 평범한 사람도 깨달음을 얻을수 있는가? 불교를 아는 것이 우리 삶에 어떤 도움이 될 것이며 부처님 말씀대로 사는 삶이란 어떤 삶인가? 아마 불교에 입문하기에 앞서 누구나 이런 의.. 불교 이야기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