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는 하심의 종교 ♠.불교는 자비,하심(慈悲,下心)의 종교 불교의 핵심은 지혜(智慧)요, 자비(慈悲)입니다. 지혜와 자비가 양대 산맥을 이루는 종교가 불교요, 지혜와 자비가 두 바퀴가 되어 큰 수레를 잘 굴러가게 하는 종교가 대승불교입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부처님을 '양족존(兩足尊)'이라 칭합니다. .. 불교 이야기 2016.06.23
반야심경 ♧.반야심경(마하바라반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 불교 이야기 2016.06.23
천수경 ♣.천수경 ​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3번) ​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3번) 개경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3번) ​ 천수천.. 불교 이야기 2016.06.23
초심자의 불교예절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 ​ ▶ 예절 불교예법을 바르게 익힘으로써 우리 모두 참된 불자로서 어긋남이 없는 몸 가짐과 마음을 갖추어야 하겠다.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이다. 신성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기도 .. 불교 이야기 2016.06.23
초심자 선의 종류 ▣.선종의 종류 조사선(祖師禪)이란 깨달음을 완성한 모든 조사들이 본래 이뤄져 있는 깨달음의 세계를 바로 눈앞에 들어 보인 법문이다. 이 법문에 들면 말길과 생각의 길이 끊어지고 스스로가 본래 부처임을 명확히 깨달아 어디에도 걸리지 않은 자재한 삶을 누리게 된다. 체로금풍(體..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자의 신행 V. 불자의 신행(信行) ​ ​ 1. 삼귀의(三歸依) ​귀의불 양족존(歸依佛 兩足尊)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양족: 복덕과 지혜 귀의법 이욕존(歸依法 離欲尊)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귀의승 중중존(歸依僧 衆中尊)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 2. 도량석(道場.. 불교 이야기 2016.06.23
참선 4. 참선(參禪) ​ 마음을 한 곳에 모아 고요한 경지에 드는 것, 마음을 맑히고 참 나를 찾아가는 길, 한마디로 마음을 닦는 것이 바로 선(禪)이다. 선(禪)은 부처님 말씀 이외에 따로 마음과 마음으로 전해온 것을 문자로 세우지 아니하고 곧바로 마음을 가리켜 참성품을 보아 부처를 이.. 불교 이야기 2016.06.23
기도 5. 기도(祈禱) ​ '기도(祺禱)'란 다겁생에 지은 죄업과 현생에 길들여진 잘못된 가치관과 습관을 부수어 자신의 업장을 소멸시키고, 주위의 모든 사람에게 기쁨을 주며, 더 나아가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는 것이다. 또한, 기도(祈禱)란 부처님의 길을 따르고자 하는 원(願)을 세우고, 세.. 불교 이야기 2016.06.23
참회 6. 참회(懺悔) ​ ‘참(懺)’은 과거의 죄를 뉘우치는 것이고, ‘회(悔)’는 앞으로 다가올 잘못을 미리 예방하는 것을 말한다. '참회(懺悔)'란 알게 모르게 지은 악업과 교만, 탐욕, 성냄, 어리석음을 뉘우치고 아주끊어, 다시는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비장한 결의의 표시이다. 이..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공 7. 불공(佛供) ​ 불공이란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을 말한다. '공양(供養)'의 실질적 의미는 아래와 같다. 좁은 의미로 공양은 '밥먹는 것'. 공양(Pujana)은 깨끗한 마음으로 꽃,향,촛불,등(燈),음악 등을 삼보(三寶; 佛, 法, 僧), 부모, 스승에게 받들어 올리거나, 우리 이웃의 모든 사람들에게.. 불교 이야기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