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 ♣.수 인(手 印) ​ 불상의 손 모양을 수인이라고 하는데 수인에는 특별한 뜻이 있다.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모양을 만들어 표현 하는 것이다. 인계(印契), 인상(印相), 밀인(密印), 계인(契印)이라고도 한다. 수인은 교리상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불..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교회화 ♣.불교회화 및 종류 불교회화는 예술성만을 추구하는 순수예술이 아니며 불교 사상을 주제로 하는 성스러운 예술이다. 그러므로 좋은 불화는 기법이나 양식이 획기적인 작품성보다 불교 이념을 얼마나 훌륭하게 표현 하였느냐가 더 중요하다. 1> 탱 화 탱화는 비단이나 삼베에다 불...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교용품 ♣.법구는 불교의식 등에 쓰이는 모든 도구를 가리키며 불구(佛具)라고도 한다. 1> 불전 사물(四物) 조석 예불 때 치는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을 불교의 사물이라고 한다. * 법 고(法 鼓) 법고는 법을 전하는 북이라는 뜻이다. 쇠(牛)가죽으로 만들며, 짐승을 비롯한 중생을 깨우치기 위하.. 불교 이야기 2016.06.23
사리장엄과 복장물 1.사리장엄(舍利莊嚴) ​ 사리장엄이란 사리를 봉안하는 갖가지 장엄구다. 사리를 담는 사리구와 이 사리구를 탑 속에 봉안하는 사리장치를 통틀어 일컫는다. 사리장엄에는 사리를 담는 사리병과 그것을 보호하는 합(盒)이 있다. 사리병은 신라시대에는 유리와 수정으로 만들었으나 ..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교 조형물 ♣.불교 조형물(造型沕) 1>당간과 당간지주(幢竿支柱) ​ 예전에는 사찰에서 기도나 법회 때 기(旗)를 내걸었다. 이 기를 당(幢)이라 하는데, 당을 걸어두는 기둥이 당간이다. 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우는 지주로서 대개 사찰 입구에 세운다. 당간은 금동, 철 등 금속재를 ..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자의 자세 ◑.기초적인 불교 용어 1) 차 수(叉 手) ​ 차수는 수행 도량에서 합장을 하지 않고 서 있거나 걸을때 취하는 손의 자세이다. 차수는 손을 어긋나게 마주 잡는다는 뜻으로 왼손 손등 부분을 오른손으로 가볍게 잡는 것을 말한다. <서 있을때는 차수한 손을 하단전 부분에 자연스럽게 .. 불교 이야기 2016.06.23
법당예절 ◐.예불과 법회에서의 예절 1> 예 불 ​ 예불은 말 그대로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것이다. 따라서 예불을 올릴 때에는 타성적이거나 형식적이어서는 안된다. 지극한 마음으로 정성을 다 해 올려야 한다. ​ ♣ 다음의 행위는 삼가 하자. ​ 1. 어간에 앉는 행위 2. 아는 사람이나 .. 불교 이야기 2016.06.23
절(拜) ♣.절(拜)의 유형 ​ 1>오체투지 ​ 몸의 다섯 부분 즉 두 팔꿈치와 두 무릎, 이마를 땅에 닿도록 엎드려 하는 절이다. 오체투지는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동작으로서 가장 경건한 예법이다. ​ ​ 2 .반 배(半 拜) ​ 합장을 한 자세로 상.. 불교 이야기 2016.06.23
스님에 대한 예절 ◐.스님에대한예절 스님은 삼보에 속하는 출가자로서 재가 불자에게는 스승과 같은 공경의 대상이다. 재가자는 스님 가까이에서 가르침을 받을수 있고 수행자의 진정한 모습을 본받을수 있다.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나 스님을 대할때는 존경의 마음으로 합장 반배 해야 한다. 불교에 대..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자간 예절 ◐.불자간예절 출가하지 않고 가정생활을 하면서 불법을 닦는이들을 재가불자라 한다. 재가불자 끼리는 ㅇㅇ법우님, ㅇㅇ거사님, ㅇㅇ보살님 등으로 불러야 하며 법명이 있으면 앞에 법명을 붙여 부르는것이 예의이다. 길이나 절에서 만나면 합장 반배로 정중히 인사하고 법회 중일때는.. 불교 이야기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