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신살 ◈ 신살(神殺) 1. 신살(神殺)의 의의 “오행(五行)과 육신(六神)의 장식물이요, 유무연(有無緣)의 선악(善惡)을 담당하고 있으며, 사물(事物)의 최종적인 소재(所在)와 물상(物象)과 기세(氣勢)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파악하게 하는 지표(指標)입니다.” 2. 십이신살(十二神殺) 십이신살은 年.. 명리 2016.07.28
십이운성, 장생 ★ 장생(長生) 장생(長生)은 십이신살로 지살(地殺)이며 길성이다. 장성을 평안과 번영을 의미하므로 일간이 장생을 보게 되면 흉살을 제거하는 동인이 되어 귀함이 배가된다. 물론 봉법(逢法)을 기본으로 거법(居法)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해석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가령 甲일간이 壬申..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목욕 ★ 목욕(沐浴) 목욕(沐浴)은 십이신살로 연살(年殺)에 속하며 일명 함지살(咸池殺), 도화살(桃花殺)로 부르기도 한다. 한편 목욕의 지나친 과시 및 호색성이 화근이 된다는 점에서 욕패(浴敗)라고도 한다. 모친의 후원을 받던 장생지를 떠나 삶의 거친 들판으로 한 걸음 내딛는 형국으로 전..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관대 ★ 관대(冠帶) 관대(冠帶)는 십이신살의 월살(月殺)에 해당하며, 성인식을 치르고 혼인과 직업선택의 시기로서 출사(出仕)의 뜻을 담아 장식과 관련한 의미로 사용된다. 부모 슬하를 떠나 자신만의 독립된 공간을 구축하는 냉엄한 고통의 세계에 봉착하는 시기로서 고초살 (苦楚殺)이라고..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록 ★ 건록(建祿) 건록(建祿)은 십이신살로 망신살(亡身殺)에 해당하며, 안정을 구가하는 중년기로서 부귀의 황금기이다. 영육의 온전함으로 완숙한 인간미와 지덕의 용모를 갖춘 반듯한 성품의 소유자이다. 건록은 겸전(兼全)한 부귀에 놓인다 하여 임관(任官) 또는 사관(仕官)이라고 하며, ..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왕 ★ 제왕(帝旺) 제왕(帝旺)은 십이신살의 장성살(將星殺)에 해당하며, 극양(極陽)으로 일생의 최고전성기를 일컫는다. 무릇 극양이면 극음(極陰)이라 항룡유회(亢龍有悔)의 쇠함과 변동변화를 암시한다. 천하를 통솔하고 호령하는 일종 제왕지상(帝王之像)의 기운이 극왕극성하여 자신이 ..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쇠 ★ 쇠(衰) 쇠(衰)는 십이운성의 반안살(攀鞍殺)에 해당하며,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지만 제왕의 여기(餘氣)가 녹아 있어 퇴기(退氣)의 극치를 논하기에는 이르다. 지천명의 초로기(初老期)로서 사물의 처리가 분명하고 진퇴의 성패를 확정지을 만큼 지혜로워 이성적이고 합리적 판단력..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병 ★ 병(病) 병(病)은 십이신살의 역마살(驛馬殺)에 해당하며, 이순(耳順)과 종심(從心)의 노년기로 영육이 무기력하고 장부(臟腑)의 생산기능이 저하되어 노쇠의 증상이 완연한 퇴기(退期)이다. 물론 사주에서 병은 육체의 완전한 쇠퇴를 뜻하는 노쇠 (老衰)의 하학적 관점과, 원숙하고 노련..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사 ★ 사(死) 사(死)는 십이운성의 육해살(六害殺)에 해당하며, 문자 그대로 사는 휴지기(休止期)로서 동(動)이 거(去)하고 정(靜)이 래(來)하는 것이다. 영육의 완전한 분리현상이 나타나는 시기로서 오직 상학의 정신만이 존재감을 대신하여 하학의 육체는 별반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생산.. 명리 2016.07.27
십이운성, 묘 ★ 묘(墓) 묘(墓)는 십이신살의 화개살(華蓋殺)에 해당하며, 완전한 침잠의 시기이며 생명의 정지기(停止期)이다. 태양의 일몰현상이며 무생명의 암흑세계이다. 운성의 마지막으로 인생무상(人生無常)이요 제행무상(諸行無常)이다. 묘의 상학은 정신적 실행력에 있고, 하학은 문자 그대로.. 명리 2016.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