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학 ▣.삼법인(三法印=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 첫째 어떤 법이 불교인가 아닌가를 기준하여 인가하는 법인(法印) 징표로서의 의미, 둘째 연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의 진리, 셋째 존재의 실체를 인식하는 그릇된 고정관념을 타파하는 진리, 넷째 우주와 인간 삶의 현실을 그대로 보게 일깨우.. 불교 이야기 2016.06.23
방생 ▣.방생(放生)의 의미 방생은 부처님 법성으로 사는 삶이다. 생명 나눔이며 자비의 보살행이다. 글짜의 뜻처럼 생명을 놓아 준다는 것은 생명을 살린다는 것이다. 불성의 진리로 깨어있으면 육신부처에겐 숨쉬는 것이 방생이며 배고파 먹는 것이 잠자는 것이 방생이다. 가족을 위한 방생.. 불교 이야기 2016.06.23
사찰의구조 IV. 사찰(寺刹)의 구조 ​ ​ 1. 사찰 ​ - 사찰: 범어 상가람마(Sangarama)가 어원.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등 사부대중이 모여 수행하는 곳. 다른 말로는 정사, 승원, 가람, 출세사, 청정원, 도량, 사원, 절 - 사의지(四依止): 수행자의 기본 생활인 '걸식, 분소의, 수하좌, 부란약' .. 불교 이야기 2016.06.23
전각 4. 전각(殿閣) ​ ​- 맞배지붕(주심포 양식), 팔작지붕(다포 양식), 배흘림기둥(엔타스식양식, 부석사 무량수전) - 우리나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은 '봉정사 극락전'이다. ​ *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신 법당. 좌우협시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 대적..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상 5. 불상(佛像) ​ 불상은 깨달은 이 즉, 부처를 나무나 돌 등으로 형상화한 것. 대승불교의 다불사상에서 비롯됨. 석가모니불,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약사여래불, 미륵불, 천불, 3천불 53불, 만불 등 다불 그리고 4방불, 5방불 등의 방위불이 만들어졌다. - 최초의 불상: 입멸후 500년경에 ..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화 6. 불화(佛畵) ​ - 불전도: 부처님의 전생이야기나 전기를 묘사한 그림. - 변상도: 불경에 나오는 교훈적인 장면을 그림으로 묘사한 것 - 만다라: 밀교적 의식에 필요한 기하학적인 문양이나 그림. - 괘불(掛佛): 법당밖에서 불교의식을 행할 때 걸어 놓은 예배용 그림. ​ * 불화의 종.. 불교 이야기 2016.06.23
법구 7. 법구(法具) ​ - 범종(梵鐘): 천상과 지옥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치며, 아침에 28번, 저녁에 33번 침. - 법고(法鼓): 짐승을 비롯한 중생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게 하기 위하여 침. - 운판(雲板): 공중을 날아나니는 조류중생과 허공을 떠도는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 침. - 목어(木魚): 물속에 ..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교 상징물 8. 불교의 상징물 ​ 1.불교기: 불교기는 처음 스리랑카에서 1882년 영국인 불교도 올코트대위가 창안, 1950년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정식 승인. 청. 황. 적. 백. 주황 다섯색. - 청색: 부처님의 검푸른 모발색으로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고 부처님의 법을 구하며 살아가.. 불교 이야기 2016.06.23
불교 상징물 8. 불교의 상징물 ​ 1.불교기: 불교기는 처음 스리랑카에서 1882년 영국인 불교도 올코트대위가 창안, 1950년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정식 승인. 청. 황. 적. 백. 주황 다섯색. - 청색: 부처님의 검푸른 모발색으로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고 부처님의 법을 구하며 살아가.. 불교 이야기 2016.06.23
한국의 주요사찰 9. 한국의 주요사찰. ​ - 삼보사찰(三寶寺刹): 통도사(불), 해인사(법), 송광사(승) '통도사'는 자장율사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여 '불보(佛寶)사찰' '해인사'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이 있어 '법보(法寶)사찰' '송광사'는 고려 16국사(國師)를 배출했기에 '승.. 불교 이야기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