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명

한자획수의 오류 원획법

구담도인 2016. 6. 20. 21:04

 

 

 

▣. 한자획수의 오류

 

曺씨성을 10획이라 하고 또 11획이라고도 하는데

어느이론이 맞는것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11획이라고 하는 주장

'성명학에서 한자 획수의 계산은 원획법으로 본다’는 말에 근거한 것으로

"曺(성씨조)"라는글자는 원래 "曹(무리조)"에서 생겨난 것이므로 曹(무리조)의

획수인 11획으로 보아야 한다는 이론

 

 

10획이라고 하는 주장 

원획법의 적용범위는 글자의 모든 부분에 원획법을 적용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글자의 해당 부수만 원획법으로 본다’라는 이론에 근거 한 것으로

曺의 해당 부수는 日이라 원획법으로 보나 필획법으로 보나 10획 그대로 이다 라고 주장 하며,

또 曺는 이미 성씨로서 고착된 고유명사라 이것을 억지로 曹라고 볼 필요가 없으니

10획으로 보는 것이 당연 하다는 주장입니다.

 

 

이러한 연유로 曺씨성을 10획이다, 11획이다 라고 각기 다른 주장을 하는데

현재 전체 작명가의 적용 비율로 본다면 10획으로 보는 작명가가 다수이며,

저 역시 10획으로 보는 이론이 더 합당 하다고 보고 10획으로 적용합니다.

 

 

결론적으로 曺씨성을 11획이라고 하는 것은

고유명사인 성씨에 법칙을 적용 하려는 자체가 무리이며,

법칙을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적용한계를 넘어선 억지 주장으로

11획이 아니라 10획으로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선생님! 한자 획수가 아무리 봐도 잘못된 것 같아요?

 

 

이것은 성명학에서 적용하는 한자 획수의 계산법과, 실제 획수상의 차이 때문에 그렇습니다.

한자획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필획법, 원획법, 곡획법 입니다.

필획법(筆劃法)은  

실제 글을 쓸 때 한 획 한 획 붓의 움직임을 근거로 해서 계산하는 방식으로 일반인들이

고 있는 획수 그대로이며, 컴퓨터나 자전에는 전부 필획법 으로 적용됩니다.

 

원획법(原劃法)은 

글자를 실제 사용하는 글자의 형태로 보는 것이 아니라 글자의 원형대로 획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삼수변은 분명 붓의 움직임은 3번이니 3획이지만

삼수변의 원형은 무 수 水 로 봐야 하므로 水의 획수인 4획으로 적용하는 것입니다.

 

곡획법(曲劃法)은 

붓의 구부러짐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으로 붓이 구부러질 때 마다 한 획이 추가되는 방식입니다.

 

현재 성명학자나 작명가들의 99퍼센트는 원획법을 적용하며,

일부 소수학자가 곡획법을 적용하는 경우와 필회법을 적용하는 겨우가 있습니다.

 

대다수 작명가들은 한자의 획수를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필획법의 획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원획법의 획수를 말하니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획수와는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도표는  원획법에 따른 획수입니다.

 

변형부수부수자획수변형부수부수자획수
    (심방변)4획    (옷의변)6획
    (삼수변)4획    (초두머리)6획
    (재방변)4획    (그물망)6획
    (개사슴록변)4획  月 (육달월)6획
  王  (구슬옥변)5획    (책받침)7획
    (보일시변)5획    (우부방)7획
    (늙을로)6획    (좌부방)8획

 

 

참고로 인터넷 상에서는 원획법 적용에도 일부 견해를 달리하는 작명가들이 있는데 

부수나 변 등이 겹쳐지는 경우입니다.

 

원획법이라고 해서 무조건 글자의 모든 부분을 원획법으로 보는것은 아니고

원획법도 그 적용범위가 정해져 있어 '글자의 해당 부수만 원획법이 적용된다'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음 옥빛 영 瑛을 예로 본다면

玉 +  艸 + 央 = 5 + 6 + 5 = 16  이라는 설과

玉 +  英 = 5 + 9= 14 라는 설이 있는데

 

16 이라고 주장 하시는 분들은 원획법을 적용하려면 

모든 부분에서 전부 원래의 글자의 획수를 그대로   적용 해서 16획이라 하고

 

14획으로 주장 하시는 분들은  원획법을 적용하기는 하되 

모든 부분을 글자의 원회법 으로 환산 하는것은 오류 이므로 

해당 부수 王만 원획법으로 보고 英은 하나의 고유 글자 로 9획으로

즉 王만 玉으로 환산해서 14획 이라는 것입니다.

 

이런한 이론은 학자나 작명가들 간에도 논쟁의 대상이 되니 

어느 이론이 맞는지 참으로  혼란 스러울것 입니다.

 

객관적인 해답을 얻으러면 다수의 성명학 서적을 보고 

실제 어느학설이 통용되고 수록되어 있는지 일일이 확인 해 보는것 입니다,

 

모든 책에 14획 으로 되어 있고

단 한권의 책에서도 16획이라고 분류한 책을 찾지 못했습니다.

(16획이라 주장 하시는분 중에 한분이 책을 발간 했다고 하니 그런 이론도 존중 합니다.)

 

※. 다수의 의견이 절대적인 진리라고 말할수 없을지는 몰라도

     본인은 다수설의 이론을 채택하여 14획 을 적용합니다


 

 

 

'개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이 운명에 미치는 영향  (0) 2016.06.20
이름과 운명  (0) 2016.06.20
개명이 쉬워진다  (0) 2016.06.20
좋은 이름은  (0) 2016.06.20
개명에 필요한서류  (0) 201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