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合論
(1) 천간합
▶.갑기합토(甲己合土)
- 천간합이 있는 사주는 자기 분수를 지키며 마음이 넓어 타인과 다투지 아니하고 세상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다.
남자는 처에게 여자는 남편에게 서로 공경하며 화합, 행복하게 사는 합이다.
- 사주에 비겁이 태왕하고 격국이 순수하지 못하면 오히려 합의 좋은 점은 사라지고 천격이 된다.
- 己일에 甲을 합하면 여자는 사주 원국에 甲이 하나 외에 또 있으면 그 수만큼 간부와 짝을 짓는다하여
색정을 탐하여 가정을 잃기 쉽다. 그것은 甲이 관성이기 때문이다.
- 남자는 甲일주에 己토가 재성이기 때문에 기토가 하나 외에 또 있으면 그 수만큼 작첩한다 하여 주색으로 패가한다.
▶.을경합금(乙庚合金)
- 과감 강직한 성질을 가지고 인의가 두텁다.
- 을경합금이 사주에 있고 사주가 청기가 있어 신왕하며 용신이 관성에 해당할 때 권력의 대열에 서게 된다.
- 여자 사주에 乙일주에 庚을 합하면서 경이 하나 외에 또 있으면 그 수만큼 남자관계를 맺는다 하여 흉하며
가정을 등한시 하여 재가팔자이다.
- 남자 사주에 庚일주에 乙이 한번 외에 또 있으면 그 수만큼 여자관계를 맺는다 하여 흉하며 그것으로 인해 주색잡기에
방탕하여 가정을 등한시 한다.
▶ 병신합수(丙辛合水)
- 풍채에 위엄은 있으나 편굴(偏屈)한 경향이 있고 성질은 잔인하고 호색이며 지혜가 총명하여 계략을 잘 부린다.
- 여자 사주로 辛 일주에 丙의 간합, 남자 사주에 丙 일주로 辛의 간합이 한개 외에 또 있으면 그만큼 이성문제가 생긴다.
▶ 정임합목(丁壬合木)
- 감정에 흐르기 쉽고 주색을 좋아하며 정결하지 못하다. 또한 질투심이 강하다.
- 건강이 좋지 못하여 신경성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고 키가 크거나 몸이 마른 사람이 많다.
- 여자 사주로 丁 일주에 壬의 간합, 남자 사주에 壬 일주에 丁의 간합이 한개 외에 또 있으면 그만큼 이성문제가 생긴다.
▶ 무계합화(戊癸合火)
- 대개 미남 미녀이고 잔정이 없으며, 남자는 결혼운이 나빠 정식결혼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여자는 미남과 결혼한다는 암시가 있다.
- 성격이 박정하고 남자는 연상의 여자를 여자는 나이 든 남자를 좋아하니 가정을 등한시하여 간부를 두는 경우가 많다.
- 여자 사주에 癸 일주로 戊 간합, 남자 사주에 戊 일주로 癸의 간합이 한개 외에 또 있으면 그만큼 이성문제가 생긴다.
- 사물에 대해 생각하는 관점이 짧기 때문에 모든 일을 단순하게 처리하기 쉬우므로 사기나 손재를 당하는 일이 많다.
- 남자는 천간 합이 많으면 부부변동이 생기고, 여자는 지지합이 많으면 부부변동이 생기는데 남녀 다 같이
천간합과 지지합이 있을 경우 필연코 부부변동이 생긴다.
- 일간을 중심으로 지지의 지장간에 일간과 암합하여 나오는 오행이 남자는 재성, 여자는 관성이 나오면 이성문제가 생긴다.
-세운, 대운에서도 세운 대운 지지의 지장간과 일간을 대조하여 대운 세운 지지의 지장간 속의 여자는 관성, 남자는 재성이
일간과 암합하면 거기에 따라 나오는 오행을 불문하고 이성문제가 발생한다. 시기는 대운과 세운이 암합된 오행과 일치하고
월운 역시 여자는 관성, 남자는 재성월에 문제가 발생한다.
- 모든 천간합과 지지합은 유정(가깝게 붙어 있어야)해야 완전한 합이 성립되며, 원격해 있거나 방해하는 오행이 있으면
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합이 되는 한쪽 오행이 합이 되는 오행 기준 인성이나 비겁에 통근하고 있으면
합이 되기 어렵다
(2) 지지합
- 子午卯酉의 사왕지지가 월령에 자리 잡고 삼합이나 방합을 이루고 있으면 상충에도 쉽사리 합이 깨지지 않는다.
- 사주 원국이 월령을 중심으로 사왕지지가 들어 있어 이것이 사주의 지지에 오행의 삼합이 이루어지면,
천간에 동일 오행이 있다고 해도 사왕지지의 합의 더욱 강력해서 합이 이루어진다.
더해서 삼합을 대표하는 오행이 천간에 있다면 무조건 합의 오행으로 간주해야 한다.
- 방합은 삼자중에 한자가 반드시 월지에 있어야 성격되며 월지에 들어있지 않고 3자가 있는 것은 합이 된다고
해도 힘이 약하고, 2자만 있는 것은 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