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공부 잘되는 책상방향

구담도인 2016. 6. 19. 17:55

 

 

 

5. 아이방/공부방의 길흉

 

 

(1) 아이방

 

아이는 소남소녀(少男少女)이니 팔괘상으로 남자아이는 간괘(艮卦)이며, 여자아이는 태괘(兌卦)이다. 
그러므로 간,태괘가 극을 받으면 아이에게 좋지 않다.

건괘나 태괘가 오귀살을 만나면 흉하다. 예컨대 건방대문으로 진방안방이거나 진방부엌이면 건괘가 오귀살을

만난 것이니 흉하다는 것이다. 또 태방대문에 이방안방이나 이방부엌이면 오귀살이 되어 역시 흉하다.

또 아이의 본명이 아버지의 본명과 다르다면 아이의 본명에 맞는 방을 주어야 한다.

예컨대 아버지는 동사명인인데 아이가 서사명인이라면 서사택의 방을 아이에게 주어야 하며 침대나 아이가

잠을 자는 방향(머리방향)도 서사택방향에 맞게 향해야 한다. 잠자는 머리방향이 맞지 않으며 꿈자리도

사납고 정신이 맑지 않기 때문이다.

-. 아이방은 창문이 많거나 높으면 안된다. 
-. 창문 바로 밑에 침대를 두면 안된다.
-. 동쪽의 떠오르는 태양의 기운을 받도록 창문이 동/남쪽에 나있는것이 좋다.
-. 아동방에는 화분을 두지 않는다.

 

 

(2) 공부방 - 공부가 잘되는 방위

 

구궁(구성도)을 돌려서 길방을 찾는 방법이다.
사록방(四綠方)은 문창성으로 문장력과 지혜와 祿를 뜻하며, 일백방(一白方)은
벼슬길과 시험에 길한 신으로 일백과 사록이 만나면 가장 좋은 방위가 된다.
이곳에서 공부를 하면 문장이 뛰어나고 청운의 꿈을 이룬다고 한다.

구궁비성법(九宮飛星法)에 의한 방법
사주의 천간숫자를 모두 합하여 9로 나눈 나머지가 天數
사주의 지지숫자를 모두 합하여 9로 나눈 나머지가 地水
(수는 천간 갑1~계10, 지지 자1~해12로 셈한다.)
천수는 중궁에서 이궁으로 나가며 역행
지수는 중궁에서 감궁으로 나가며 순행

 

1. 일백(벼슬길)과 사록(문창성)이 만나는 곳이 가장 좋은 방위이다.
2. 일치하는 방위가 없으면 차선책으로 일백이나 사록에서 길방을 택한다.
3. 위에서 찾은 방위가 동사택,서사택에 맞지 않으면 맞는 방위만 골라쓴다.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사택  (0) 2016.06.19
대문, 출입문의 길흉  (0) 2016.06.19
부억의 길흉  (0) 2016.06.19
화장실, 욕실의 길흉  (0) 2016.06.19
안방의 길흉  (0) 2016.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