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地支의 작용과 특성
1. 子 (大雪, 冬至)
①자의(字意)
씨앗을 의미하며 시작과 처음을 뜻한다. 천기가 동하는 시간이다.
②음양(陰陽)
극음지기(極陰之氣)에서 처음으로 일양(一陽)이 생겨 5陰 1陽을 이룬다.
③계절(季節)
子月은 음력 11월인 동짓달이고 대설(大雪)이 절입일(節入日)이며
겨울의 중심이 되는 때이다. 만물이 휴식기에 들어가 기운이 안으로 갈무리되고
응축되는 시기로서 동지 10일 후에 一陽이 시작된다.
④오행(五行)
子는 陰水이다. 응축되고 순수한 물로 水生木의 작용은 떨어지나 水克火의 작용력이 크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여성의 자궁을 뜻하며 모든 생명의 탄생과 일의 시작은 자수로부터 발생한다.
-생명체가 이용할 수 있는 맑고 깨끗한 물로서 옹달샘, 이슬, 계곡물, 냇물 등
-癸水의 성분을 많이 지니고 있다.
⑥성정(性情)
-차분하고 침착하며 때로는 냉철하고 대단히 예민하며 깨끗함을 추구한다.
-환경에 따른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변화가 자주 일어난다.
-음지, 야간, 비밀의 요소로 애정사나 비밀스런 일과 관련된다.
-행동이 민첩하고 유흥, 오락을 즐기며 정신노동을 좋아한다.
2. 丑 (小寒, 大寒)
①자의(字意)
얽매이거나 묶여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지기(地氣)가 열리는 때이다.
陽이 아직 위에서 내려오지 않아 만물이 막혀 나오지 못한다.
②음양(陰陽)
四陰 二陽으로 아직 음기(陰氣)가 왕성한 시기로 양기(陽氣)가 밖으로
들어 나지는 않지만 내부적으로는 양기(陽氣)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③계절(季節)
丑月은 소한(小寒)이 절입일(節入日)로 子月의 한기가 누적되어 체감으로 느끼는
가장 추운시기가 된다. 씨앗에 더욱 압축을 가해 반발력을 키움으로서 발아하려는
힘을 키우는 때이다. 대한(大寒) 이후에는 金과 土가 강해지고 양기가 내부로부터
성장하여 水의 기운을 木으로 변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④오행(五行)
丑은 陰土이다. 얼어있는 土로 水를 만나면 더욱 응축되며 火를 보면 설기(洩氣)하여
火의 기능을 상실하게 하기 쉬우나 土生金의 역할은 뛰어나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언땅으로써 火의 설기를 가장 잘 하며 만물을 축적한다.
-봄에 씨앗을 싹틔우기 위해 종자를 압축하여 숙성시키는 과정이다.
-여성의 태반, 양수를 의미하며 임신부터 탄생까지 생명체를 보호한다.
-습한 기운이 많고 축축한 12월의 언 땅으로 초목이 성장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성장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땅이 아니라 종자나 인간의 태아를 숙성시키고
탄생을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⑥성정(性情)
-속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보수적이며 서두르지 않고 침착하다.
-고집이 세고 근면, 성실하나 소처럼 대가없는 일을 많이 한다.
-내향적 성향이 강하고 표출을 하지 않는다.
-인내심이 강하고 저축하는 성향이 있다.
-반복되는 일을 하며 어디가도 먹을 복이 많다.
-엉킨 것을 정리하여 다음 해에 넘기기 위한 준비를 뜻한다.
-선대의 몰락을 경험하며 후대를 위한 발판이 되지만 자신은 성공하기 어렵다.
3, 寅 (立春, 雨水)
①자의(字意)
끌어당기며 움직여 나오는 의미로 만물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때이다.
②음양(陰陽)
三陽開太, 立春大吉
三陰 三陽 으로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어 만물이 생장하고 활동을 시작하는 때이다
③계절(季節)
寅月은 입춘(立春)이 절입일(節入日)이 되며 우수(雨水) 전까지는 조춘(早春)으로 한기가
남아 있어 火로 한기를 풀어주어야 하고 우수(雨水) 이후에는 양기(陽氣)가 자라나 강성해 진다.
④오행(五行)
寅은 陽木이다. 寅木은 水의 기운을 잘 흡수하여 木生火라는 작용력이 크다.
寅月에 金을 만나면 어린 나무가 다치게 되니 金을 두려워하고 火를 보면
목화통명(木火通明)을 이루어 木의 기운이 빼어나게 되며, 강하지 않은 土를 보면
뿌리가 튼튼해지는 공이 있다. 寅月에 火가 없이 水가 강하면 木이 자라기 어렵고
水가 없이 火가 강하면 분목(焚木)되기 쉽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소나무, 전나무와 같이 곁가지가 거의 없이 하늘높이 곧게 솟아 있는 나무를 말한다.
환경이 불량하면 완전한 성장이 불가능해진다.
⑥성정(性情)
-포부가 크고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
-강력한 리더쉽을 바탕으로 지도자적 기질을 가지고 있다.
-인자한 마음과 순수한 성품의 소유자이다.
-교육계통, 기획관련 일을 잘한다.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성질을 가진다.
4. 卯 (驚蟄, 春分)
①자의(字意)
씨앗이 땅을 뚫고 나와 흙을 뒤집어 쓴 모습이며 문이 열리는 모습의 형상이기도 하다.
2월에 만물이 흙을 뒤집어쓰고 나오는 것이 문을 여는 것과 같으므로 2월의 하늘을
天門이라 한다.
②음양(陰陽)
四陽二陰으로 양기(陽氣)가 밖으로 나와 왕성하게 활동하는 때이다.
③계절(季節)
卯月은 경칩(驚蟄)이 절입일(節入日)로 木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양기가 상승하여
점점 따뜻해지는 때이다. 만물의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수기(水氣)가 나무를 타고
오르니 습목(濕木)이 되나 대기는 양기가 상승하니 건조하여 메마른 때가 된다.
④오행(五行)
卯는 陰木으로 습목(濕木)이며 화초목이다. 金水가 많은 것을 꺼리며 火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水를 만나면 부목(浮木)이 되기 쉽고 金이 강하면 木이 다치기 쉽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 청소년, 木의 기운이 가장 강하다,
- 지지에 두 개만 있어도 강한 세력
- 잔디, 잡초, 화초, 넝쿨, 곡식류 등으로 환경적응력이 뛰어나고 끈질긴 생명력을
가졌다.
⑥성정(性情)
-인정이 많고 순하며 마음이 여리다.
-활동적 성정보다는 현실적이고 끈질기며 온화한 편으로 사교적 성향이다.
-양의 기운이 밖으로 드러났으므로 꾸미거나 장식하는 일을 좋아한다.
-설계, 디자인, 의류관련업 등에 적성이 있다.
-어린아이를 좋아하므로 교육관련, 유치원, 초등교사, 학원강사 등이 적임이다.
-이사를 자주 다닌다.
5. 辰 (淸明, 穀雨)
①자의(字意)
용의 조화
우뢰(震)라는 뜻으로 펼쳐지는 것을 나타내고 만물이 생겨나 자라는 때이다.
②음양(陰陽)
五陽 一陰으로 양기가 사방으로 확산되어 요동치는 때로 만물이 자라고 움직이는 시기이다.
③계절(季節)
辰月은 청명(淸明)이 절입일(節入日)로 9일간은 卯月의 목기(木氣)가 여기(餘氣)로 작용하며,
9일부터 3일간은 水의 고지(庫地)가 되는 癸水가 있어 사령하게 되고 이후에는 土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한다.
④오행(五行)
辰은 陽土이다. 지장간(地藏干)에 癸水를 포함하고 있어 습토로 木이 뿌리내리기 좋은 곳이 되며,
화기(火氣)가 무성하여도 설기(洩氣)하여 지나치지 못하게 하며 生金의 작용이 크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나무가 성장하기에 가장 적당한 흙으로 문전옥답과 같다. 적당한 물과 거름이 혼합된 양질의 흙이라
甲木이 제일 좋아하는 흙이다.
⑥성정(性情)
-꿈과 이상이 높고 진취적 기상이지만 비현실적이고 이상만 추구하는 경우가 많다.
-듬직한 편이지만 현실에 무감각하고 무뚝뚝하다.
-침착하고 조용하지만 화가 나면 폭발해버리는 경향이 있다.
-안으로는 음의 성정을 감추고 밖으로는 양의 성정을 드러낸다.
-어두운 과거를 안고 사는 운명이다.
-용처럼 변화무쌍하여 가장 변화가 심한 성격이다.
-표리부동한 성정이나 종합적인 업무에 적성이 있다.
6. 巳 (立夏, 小滿)
①자의(字意)
이미 그렇다는 의미로 만물이 이 시기에 이르러 이미 무성해진 것을 나타낸다.
②음양(陰陽)
六陽으로 陽의 기운이 克에 이르러 陰이 자취를 감추는 시기로 양기(陽氣)가 사방에 퍼져 끝에 다다른다.
陽極卽 陰生, 陰極卽 陽生
③계절(季節)
巳月은 입하(立夏)가 절입일(節入日)로 여름이 시작되며 열기가 땅으로 스며드는 계절이다.
입하 초기에는 土와 金의 기운이 강하게 되나 소만(小滿)이 지나게 되면 기운이 극양(極陽)에 이른다.
④오행(五行)
巳는 丙火가 대표성분으로 陽火이며 큰 불을 의미한다. 亥水를 보면 북방과 남방의 싸움으로
水克火가 이루어지나 木氣가 적당하면 수화기제(水火旣濟)가 되어 중화를 이루게 된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태양처럼 열기가 대단하고 뜨거운 용광로의 불을 나타낸다.
-불을 金의 용광로에 담아 戊土로써 보관한다.
⑥성정(性情)
-외곬기질이 강하고 단정하고 깔끔한 외모를 지닌다.
-두뇌가 명석하고 사색적이며 예의가 바르다
-화끈하고 세밀하고 침착하며 논리적이다.
-근면성실하고 자존심이 강하다.
-폭발적인 성격으로 타인의 배척을 당하고 의심이 많고 화합이 어렵다.
-한다면 하는 성격이다.
-양의 기운이 극에 달하여 뱀처럼 못가는 곳이 없다.
-독한 성정이 있어 권력에 강한 집착을 보인다.
-의심이 많고 냉정한 면이 있다.
-정력가이다.
7. 午 (芒種, 夏至)
①자의(字意)
음기가 양기를 거스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양기가 극성하여 음기가 시작되는 것을 말한다.
②음양(陰陽)
극양(極陽)의 기운에서 一陰이 시작되는 때이며 사방으로 퍼지는 양의 기운을 새로 시작되는
음의 기운이 더 이상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③계절(季節)
午月은 망종(亡種)이 절입일(節入日)이 되며 하지(夏至)를 기점으로 음(陰)이 시생(始生)하여
극양(極陽)의 기운을 거두어들이기 시작한다.
④오행(五行)
午는 陰火이고 문명의 불로 사람의 정신문화와 관련이 깊어 교육, 문화사업, 언어와 문자 등의 속성을
갖게 되며, 火가 왕(旺)한데 木을 만나면 자분(自焚)하게 되며 金을 克하여 그릇을 만들기도 하나
지나치면 쓸모없게 만든다. 강한 午火가 子水를 보면 더욱 맹렬(猛烈)해지고 辰土나 丑土를 보면
빛을 잃기 쉬우며 戌土와 未土를 보면 설기(洩氣)가 되지 않고 合하여 오히려 강해진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적토마, 촛불, 난로, 전기, 등불 등 밝고 온화하고 따뜻한 불을 나타낸다.
⑥성정(性情)
-따뜻하고 포근하며 화려한 성격이다.
-화술이 뛰어나고 사교적이며 예의가 바르다.
-희생봉사정신이 강하고 모성애적 기질이 있다.
-기상이 활발하고 긍정적인 성격이다.
-사주가 탁하면 이중적, 변태적이고, 주색에 능한 사람이 된다.
-먼 곳에 의사를 전달하는 통신역할을 한다.
-정직하고 공명정대하며 분명한 성격이다.
-뛰어넘을지언정 굽히지는 않는다.
8. 未 (小暑, 大暑)
①자의(字意)
만물이 이루어져 맛(味)이 생기기 시작한다. 정오를 넘어 만물의 성장이 그치게 됨을 뜻한다.
②음양(陰陽)
四陽 二陰으로 땅에 흡수된 열기가 복사되어 가장 더위를 느끼는 때이다. 이미 만물의 성장이 멈추게 되며
양의 기운이 음기에 싸이기 시작한다.
③계절(季節)
未月은 소서(小暑)가 절입일(節入日)이 되며 대서(大暑)가 지나면서 土氣가 왕성해진다.
未月은 금화교역(金火交易)의 주체적 역할을 하는 시기로 양기를 수렴하여 金의 기운과 연결하는 고리가 된다.
④오행(五行)
未는 陰土로서 火氣가 수렴되어 이루어진 土이며 결실로 가는 첫 단계이다.
메마르고 습기가 없는 열토로서 양의 기운을 저장한다. 未土가 子水를 보면 土克水의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며 水의 조절이 없으면 조토(燥土)로써 生金 능력이 약하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열기가 대단한 땅이다. 생활에 활용되는 건축자재, 섬유, 포목 등을 나타낸다.
⑥성정(性情)
-대단한 폭발력과 급한 성격을 지닌다.
-중심을 지키며 나서지 않고 침착하다.
-남을 배려하는 마음과 희생정신이 강하다.
-사교술과 화술이 뛰어나다. 설화(舌禍)를 초래하기도 한다.
-강한 자존심과 고집으로 파멸에 이르는 경우가 있으며 남의 간섭을 싫어한다.
-사주가 불안정하면 비관론자나 변절자가 되기 쉽다.
-부족하고 매사가 늦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인내심이 많고 반복되는 일에 관심을 보이며 성장을 멈추는 단계이다.
9. 申 (立秋, 處暑)
①자의(字意)
펼쳐진다는 신(伸)의 의미가 있으며, 양의 기운이 굴(屈)하고 음의 기운이 펼쳐진다는 뜻이다.
②음양(陰陽)
三陰 三養으로 三陰이 양기를 굴복시켜 음기가 만물을 지배하기 시작한다. 火의 양기가 未土에 의해
수렴된 것이 申金에서 응축되기 시작하여 겉이 단단해지기 시작한다.
③계절(季節)
어정칠월, 원숙한 가을, 未의 강한 기운이 여기로 남아 있다. 申月은 입추(立秋)가 절입일(節入日)로
처서(處暑)가 지나게 되면 金氣가 점점 강해진다.
④오행(五行)
申은 陽金이다. 만물의 기운을 거두어들이는 숙살(肅殺)의 기운으로 정화(淨化)와 정비(整備)의 의미가 있다.
己土만이 庚金을 열기로부터 보호한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가공되지 않은 무쇠나 바위를 나타낸다.
⑥성정(性情)
-순수하고 천진난만하다.
-단단하고 고집이 세고 의리가 있다.
-결과를 중시하고 현실적이며 물질을 중시한다.
-변덕이 심하고 타인을 억누르려는 습성을 보이기도 한다.
-재주가 많고 순발력이 있어 보이지만 아집으로 인해 실패가 반복된다.
-자기주장이 너무 강하고 가정적이지 못하다.
-특별한 재능이나 기술, 능력을 보유한다.
-열매, 결실을 뜻하며 금전관리 능력이 뛰어나 부자들을 많이 상대한다.
-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애정결핍증으로 인해 애정사 고난을 많이 겪는다.
-상대방에게 바라는 마음이 많다.
10. 酉 (白露, 秋分)
①자의(字意)
술단지를 형상화시킨 글자로서 8월에 기장이 익으면 술을 담는데서 기인하였다.
②음양(陰陽)
四陰 二陽으로 四陰의 강성한 음기가 양기를 압박하여 더욱 단단해지며 水氣가 뿌리로 하강하여
나뭇잎에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③계절(季節)
늦가을, 酉月은 백로(白露)가 절입일(節入日)이 되며 중순이 지나면서 辛金의 왕성한 기운이 형성되어
모든 과일이 결실을 맺어 땅으로 떨어진다.
④오행(五行)
酉는 陰金이고 金의 왕지(旺地)로 순수한 金의 기운이 뭉쳐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강력한
숙살지기(肅殺之氣)로 木을 克하며 순수한 金의 작용인 金生水의 역할은 오히려 약하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금속성 장신구, 보석, 무기, 무르익은 과일, 세균, 효소, 모래, 자갈, 조약돌, 제련한 금속 등을 나타낸다.
⑥성정(性情)
-내적으로 강하고 감정표출을 하지 않는다.
-총명하고 이기적이며 자기중심적 사고가 강하다.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과시욕이 강하다.
-성격이 깨끗하고 담백하며 보석처럼 빛난다.
-직선적인 성격으로 타인과 불화가 심하다.
-색정이 강하여 남녀문제로 구설이 많다.
-겁이 없고 살기를 띠기도 하여 사고가 많다.
-집착이 강하고 변덕이 심하다.
-금융지배 능력이 탁월하므로 주위사람 중에 부자가 많다.
-쪼아서 구멍을 내는 현상이므로 끝내거나 마무리의 요소이다.
-술, 약물 등의 뜻으로 의료계통이나 소독, 방역 등과 관련된다.
-분리의 작용이므로 깔끔하고 정확하다.
11. 戌 한로, 상강
①자의(字意)
양기가 다하여 땅속에 숨어드는 형상이며, 화로에 묻어둔 불씨의 모습이다.
만물은 戌에서 모두 수렴되어 땅속으로 다 들어간다.
②음양(陰陽)
오음 일양으로 오음의 기세가 양기를 몰아내니 양기가 숨어든다. 음기가 천지에 가득하여 만물이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 하는 때이다.
③계절(季節)
戌月은 한로(寒露)가 절입일(節入日)이고 상강(霜降)이 지나면서 土의 기운이 왕성해지며 金의 기운을
水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④오행(五行)
戌은 陽土이며 丁火를 간직한 건조한 土로 火의 바탕이 된다. 午火를 만나면 火로 변화하기 쉬우며
水를 만나면 水克火의 작용이 크고 木을 만나면 克을 받아 무너지기 쉬운 土가 된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문화적 활동의 바탕이 되는 학교, 극장, 도서관 등을 나타내며 추수가 끝난 황량한 들판 또는
찬바람이 몰아치는 초겨울의 들판이고 만물을 감추거나 보관, 저장하는 의미의 땅이다.
-휴식, 결실을 거두어들이는 숙연함을 뜻한다.
⑥성정(性情)
-표정이 없고 듬직하며 내색을 하지 않는다.
-성실하고 침착하며 집착력이 강점으로 서두르지 않고 꾸준하다.
-일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희생정신이 강하다.
-때로는 냉철하고 자기주장을 강하게 나타낸다.
-속마음을 알기 어렵고 색정이 강하다.
-강한 고집과 인색함으로 타인의 배척을 당하기 쉽다.
-주변을 의식하지 않는 무례한 행동을 많이 하여 구설이 따르기도 한다.
-밖을 보고 짖고 안을 지키니 이중생활의 요소이다.
12. 亥 (立冬, 小雪)
①자의(字意)
핵(核)의 의미가 있으며 생명의 기틀이 뿌리에 보관되어 子水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②음양(陰陽)
六陰의 극음(極陰)이 만물을 거두어들여 씨앗으로 만들기 시작한다.
③계절(季節)
亥月은 입동(立冬)이 절입일(節入日)이 되며 겨울이 시작되는 때로 水의 기운이 강해지는 시기이다.
소춘(小春)이라고도 하며 하순에 이르면 水氣가 만연해진다.
戌亥는 천문으로 하늘의 문이 열리는 때이다. 이 때 조상이 하강하므로 조상께 제사를 드린다.
④오행(五行)
亥는 陽水이다. 甲木의 생지(生地)가 되어 子水보다 활발하게 움직이는 水로 水生木의 작용이 강하며
寅木이나 卯木을 만나면 木기운이 강해진다. 巳火를 만나면 沖하여 불을 꺼지게 하고 金을 보면
설기(洩氣)하여 쇠약하게 한다. 土를 보게 되면 막히고 木을 보면 흐른다.
⑤물질적(物質的) 의미
亥水는 사람 몸에 흐르는 혈액과 같아 충극(沖克)을 받게 되면 고혈압, 중풍, 당뇨 등의 질병을 일으키며,
큰물로 호수, 바닷물, 강물 등을 상징한다.
⑥성정(性情)
-지혜가 뛰어나고 유연성과 순발력이 대단하다.
-인정이 많고 포용력과 응용력이 강점이다.
-사색적이며 사물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시작을 잘하며 생명관련 분야에 관심이 많다.
-식복을 타고 났으며 까다롭지 않고 선량한 편이다.
-속을 알기 어렵고 변화무쌍하다.
-환경에 따라 폭발적 성정을 나타내며 사주가 온전하지 못하면 속이 검은 사람이 된다.
-팔자가 탁하면 흑심을 품으며 음흉하고 변덕이 심하다.
-무엇이든 챙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