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오행의특성

구담도인 2015. 7. 27. 12:22

 

                                                                                                                                                   http://blog.naver.com/kya5510

 

★. 五行의 특성

1. 木

①木의 의미

木은 발생과 시작을 의미한다.

오행 중에 유일한 생명체로 생물이 하늘의 양기를 호흡하고 땅의 물질을 쉴새없이 흡수하는 생활을

그대로 나타낸 것으로 한 일자는 지평선을 상징하고 한 가닥 줄기는 땅을 뚫고 새 싹이 돋아나는 모양이며

밑으로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잔뿌리가 갈라지는 모습이다.

 

인생으로는 어린 소년시절이고, 계절은 봄을 나타내며, 방위는 동쪽이고, 하루로 치면 해가 떠오르는 아침을 상징한다.

 

②木의 성질

위로 뻗어나가는 성장의 성질로 인해 앞으로 나아가려는 미래 지향적이며 하늘 끝까지 뻗어 가고 싶고 자기가 제일

높은 줄 알며 꺾이기 싫어하고 계절마다 모습이 달라 임기응변과 변덕스런 기질이 있다.

 

뻗치는 힘이 좋아 관심이 넓고 다양하며 가능한 한 많은 분야로 뻗으며 공평 적절하게 분배할 줄 알고

추진력과 적응성이 좋다.

 

③木의 의무

목은 오행 중 유일한 생명체이므로 성장하여 꽃을 피우고 결실을 이루어 종자를 남겨야 멸종되지 않는다.

 

사람의 입장에서는 자식이 있어야 대가 끊어지지 않는 원리와 같다.

 

④木의 인간적 특성

인생으로 치면 소년기에 해당하는 木은 현실보다 미래에 대한 관심이 크고 몸과 마음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탓에 변화가 많고 기분에 좌우되며 꿈과 욕심이 많고 활동적이다.

 

또한 작은 억압에도 견디기 힘들어하고 자제력과 인내심이 부족하고 창조력과 추진력은 좋으나 산만하며

늘 새로운 일거리를 만들고 벌리기는 잘하는데 마무리가 약하다.

 

직선적이고 순수하여 솔직 단순하며 복잡한 것을 싫어한다. 기획력이나 아이디어가 좋다.

 

 

 

2. 火

 

①火의 의미

불은 가벼워 위로 올라가고 확산되며 뜨겁고 밝으며 강렬하지만 만져보면 아무것도 잡히지 않는다.

마치 화려하지만 실속 없는 젊은 여름날과 같다.

 

그러나 火는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다. 그 주체는 하늘의 태양이며 그

로인해 만물은 씨앗을 생물로 움트게 하고 잎과 꽃을 피운다.

 

화려한 그 모습이 인생으로는 젊은 날 청춘의 시기이며 계절로는 더운 여름이며 방위로는 남쪽이고

하루로는 한낮에 해당한다.

 

②火의 성질

木의 운동으로 위로 솟구쳐 올랐다가 다시 옆으로 활짝 펼쳐지는 작용이 火의 성질이다.

태양의 빛이 온 천하를 골고루 비추기에 공명정대하고 분명하며 명확하고 비밀이 없다.

 

③火의 의무

화는 세상을 밝게 비추고 흙(土)에게 열기를 제공하는 의무와 金을 제련하여 보석이나

쓸모 있는 도구로 만드는 의무를 가진다.

 

④火의 인간적 특성

젊음과 불은 정열이 강하나 인내심이 약하고 열기가 넘치나 쉽게 식으며 현재에 충실한 탓에

지금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자기주장이 강하여 독선적이다.

밝고 공명정대한 탓에 예의를 잘 차리고 투쟁적이며 진취적이고 화끈한데 남의 일에 간섭을 잘 한다.

또한 사교성과 봉사정신이 많으며 특히 화술이 뛰어나다.

 

 

 

3. 土

 

①土의 의미

오행 중 음양을 고루 갖추고 있는 것은 오직 土 뿐으로 글자의 구조도 양을 의미하는 + 자와

음을 나타내는 - 자를 합친 음양의 통일체로 모든 것은 토를 통해서 나고 살며 움직이고 변화한다.

 

생명을 잉태해서 탄생시키는 어머니의 자궁처럼 土는 생명의 싹을 틔우고 키워내는 것이다.

식물(木)은 물론이려니와 물(水) 역시 흙 위에서 흐르고 火도 흙 위에서 타며, 金 역시도 흙 속에서 캐어내니

土는 오행의 자궁이요 보금자리인 셈이다.

 

四行이 서로 대립하는 과정 속에서 통일과 화합을 이루기 위해 발생한 기운이 土로써 四行의 모두는 土와 인연을

맺음으로서 창조의 성분으로 활용되기에 土는 계절마다 끝에 붙어 서로의 운행을 연결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土는 계절로는 환절기에 해당하며 방위로는 중앙이고 인생으로는 노련함이 돋보이는 중년에 해당한다.

 

②土의 성질

土는 본래 임자가 없고 일정한 방위가 없으며 누구에게나 순응하는 성질을 타고나서 누가 점유하고 무엇에 쓰든

상관을 하지 않는다.

농부가 밭으로 일구든 왕이 궁궐을 짓든지, 공장을 짓든 도로나 무덤으로 만들어도 땅은 말없이 그대로 순응할

따름이고 자기라는 개성을 살리지 않고 오로지 점유하는 자에게 그대로 순순히 따르고 동화하는 것이 토의 본성이다.

 

③土의 의무

토는 생명체인 목(木)이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온기(火)와 수분(水)을 지닌 흙이어야 하며

광물질(金)을 생성하고 흘러가는 물(水)을 가두어 용수(用水)로 쓰이게 할 의무를 가진다.

 

④土의 인간적 특성

토는 오행을 고루 갖춰 대지를 상징한다.

 

따라서 중후하고 원만하며 포용력이 커서 너그럽고 신용과 약속을 소중히 여기며 이상과 포부가 커서

큰 일을 좋아하고 개척정신이 강하며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 흙의 성질을 닮아 정직하지만

감추기를 잘 하여 비밀이 많고 적응을 잘 하며 임자가 없다.

 

개성이 없어 중용의 정신을 잘 발휘하며 신중하게 현실적으로 처신하며 대들보 구실을 한다.

또한 희생 봉사와 모성애적 마음을 가지며 안전과 평화를 중시하고 중재자 역할을 잘 하고 화술이 뛰어나며

고전적이고 보수적이다.

 

 

 

4. 金

 

①金의 의미

꽃이 지고 열매가 매달려 단단하게 무르익은 상태를 金이라 한다. 이것은 바로 씨앗을 말하며

작은 공간 속에 많은 정보와 가치를 담고 있음을 뜻한다.

 

계절로는 만물을 영글게 만드는 가을이고, 방위로는 서쪽이며 인생으로는 장년기에 속한다.

하루로는 석양이 지는 저녘 무렵이다.

 

②金의 성질

오행 중에서 가장 단단한 성질로 강한 열을 견디고 나온 다음에 얻어진 것이기에 높은 열을 받을수록 더욱 단단해진다.

 

金의 힘이란 한없이 흩어진 火의 발산을 잘 추스르고 감싸서 결실의 가을을 맞이하는데 있기에 봄(木)이 살리는 기운이라면 가을은 죽이는 기운으로 숙살지기(肅殺之氣)라고도 하는데 그러나 나뭇잎은 죽이지만 알맹인 씨앗은 살려

내년 봄을 기약함에 그 목적이 있다.

 

③金의 의무

金은 맑고 깨끗한 물(水)을 생성하여 생명체(木)의 성장을 돕고 불(火)의 힘을 빌어 필요한 도구가 되어야 되며

곡식을 수확하고 목재를 만드는 의무를 지닌다.

 

④金의 인간적 특성

겉으로는 강하거나 찬 인상을 주지만 눈물과 정이 많아 남의 꾀에 잘 넘어가고 의협심이 많으나 독선적이고

무력적이다,

 

또 보석은 뽐내고 싶어 하므로 멋을 잘 부리고 잡초 속에 묻히는 것을 싫어하고 칼날처럼 예리하고

날카로우며 치밀하고 깐깐하다.

50대 장년의 마음처럼 침착하게 숙고하며 매사를 신중하게 처리하고 또한 타산적이고 실리적이다.

 

고집과 결단력이 뛰어나며 순발력과 융통성이 부족하고 무모하며 만용을 부릴 때가 많다.

 세세한 일에는 무관심하며 가정적이지 못하다,

 

 

 

5. 水

①水의 의미

가을에 수축하여 응고된 씨앗을 더욱 딱딱하게 하여 응집시키는 작용이 水의 작용이다.

 

한 겨울의 추위를 견디고 봄을 만나 싹을 틔우기 위해서는 최대한 작게 움츠려 깊고 어두운 곳에 숨어 있어야 된다.

 물상적으로 水는 만물을 생장시키는 젖줄이며 육체를 건강하게 하는 정신의 원동력이 된다.

 

계절로는 겨울이고 방위로는 북쪽이며 인생으로는 노년기에 해당한다.

하루로는 만물이 잠드는 밤에 해당한다.

 

②水의 성질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며 모이고 머물면 썩기 때문에 항상 움직이기를 좋아하여 언제나 같은 자리에

머물기를 거부하고 환경에 따라 모이고 흩어지며, 느린 것 같으면서도 빠르며 고체나 기체로도 변신하는 탓으로

적응력과 임기응변은 좋은데 굴곡과 풍파가 많다.

 

샘물은 청정하고 자비스러우며 오염을 싫어하여 깔끔하고 단정하며 눈비는 골고루 적셔주는 윤하(潤下)의 기질로

자선을 하지만 못쓰게 망쳐놓기도 한다.

 

깊은 물은 음흉하고 얕은 물은 잔꾀를 잘 부리며 가장 편안한 길을 택하기 때문에 타협적이고 일관성 없이

어디든 흘러 다니다가 자기를 필요로 하는 곳에 자비를 베풀고 다시 길을 떠나는 것이 물이다.

 

③水의 의무

水는 생명체 木의 성장을 돕는 생명수의 역할을 해야 하며 화(火)의 기운이 발산하지 못하도록 억제할 의무를 지닌다.

 

④水의 인간적 특성

지혜가 뛰어나고 슬기로우며 유연성이나 순발력, 포용성이 대단하며 모든 일이 계획적이다.

속 마음을 알기가 어렵고 환경에 따른 변화가 심하고 유동적이다. 또한 냉철하며 겸손한 면이 있다.

 

인생의 노년기에 해당하므로 노인과 같은 속성이 있어 궁리와 생각이 많으며 종교와 철학에 관심이 많고 천진난만하고 칭찬에 약하며 물욕에 집착하며 저장, 보관, 수집 등을 좋아한다.

 

 

 오행 배속표

區分

계절

봄(春)

여름(夏)

환절기

가을(秋)

겨울(冬)

방위

중앙

시간

아침

사이시간

저녁

인생

소년기

청년기

결혼전후

장년기

노년기

천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지지

寅 卯

巳 午

辰戌 丑未

申 酉

亥 子

3, 8

2, 7

5, 10

4, 9

1, 6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성상

어짐(仁)

예의(禮)

믿음(信)

의리(義)

지혜(智)

오장

간(肝)

심장(心)

비장(脾)

폐(肺)

신장(腎)

육부

쓸개(膽)

소장(小腸)

위장(胃腸)

대장(大腸)

방광(膀胱)

오관

눈(眼)

혀(舌)

입(口)

코(鼻)

귀(耳)

종교

유교

기독교, 천주교

토속신앙, 무속신앙

불교

도교

위치

성격

자상, 다정

명랑, 활발

과묵, 중후

예리, 용감

우수, 비밀

신체

신경, 머리

체온, 시력

근육, 허리

골격, 피부

수분, 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