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교사
3. 한국불교사
1). 고구려
- 불교 전래: 소수림왕 2년(372년) 전진왕 부견이 승려 '순도'를 보내 불상과 경문을 보냄.
- 최초의 절: 소수림왕 4년(374년) 초문사(순도)와 이불란사(아도)를 세움.
- 특징: 호국불교, 왕실불교, 삼론종이 발달.
- 승려: 승랑(중국 삼론종에 영향을 끼침), 혜량(신라 최초의 국통이 됨), 혜자(일본 성덕 태자의 스승),
혜관(일본 삼론종의 시조) *삼론종은 중론.백론.십이문론을 신봉.
2). 백제
- 불교 전래: 침류왕 때(372년) 인도승 '마라난타'가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전함.
- 최초의 절: 385년 한산에 한산사가 최초의 절.
- 특징: 성왕때 인도 유학승 겸익 등이 가져온 불교경전으로 불교가 급속전파됨.
미륵사와 선운사 중심으로 미륵신앙 성행, 성왕때 일본에 불교전파. 관륵이 일본에 역법과 천문지리를 전함.
일본 여승 선신니가 백제로 유학와 계율을 배우고 감. 무왕때 동양최대의 미륵사 창건.
3). 신라
- 불교 전래: 417년 고구려에서 '묵호자'가 전래.
- 국가 공인: 527년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로 국가 공인.
- 최초의 절: 묵호자가 머물렀다는 모례의 집, 경북 구미의 도리사,
- 특징: 백고좌법회와 팔관회 개최, 553년 황룡사 창건, 호국불교, 미륵신앙, 진흥왕때
원광 의 세속오계가 화랑도에 정신적 지표가 되어 삼국통일의 기틀이 됨.
- 승려: 혜량(고구려 승려, 신라 최초의 국통 또는 승통), 원광(세속오계),
자장(당 유학, 불경.사리.법가사 전래, 통도사 등 수많은 사찰 건립).
4). 가야
- 불교전래: <삼국유사>에 수로왕때 인도 아유타국에서 허왕후가 배로 석탑으로 가져 옴.
- 사찰: 삼국유사 <가락국기편>에 의하면, 8대 질지왕은 452년 허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후사를 창건.
5). 통일신라
- 특징: 호국불교, 정토신앙, 염불결사운동, 미륵신앙 성행. 법상종, 화엄종 발달. 법랑,
도의에 의해 선종이 전래됨. 선종은 중기이후 급속 확대 말기에 구산선문이 건립됨.
- 사찰: 불국사, 석굴암, 부석사, 화엄사 등 화엄10찰 등등 수많은 사찰이 건립됨.
* 승려- 원효: 의상과 당유학 도중 해골바가지물을 마시고 일체유심조의 대각을 이루고 귀환.
화쟁사상-통불교의 원류, 요석공주와 결혼, 소성거사, 불교의 대중화, 대승기신론소,
금강삼매경론, 십문화쟁론 저술
- 의상: 당 유학승, 화엄종 배워와 부석사, 화엄사 등 화엄10대찰 세움. 신라 화엄종의 시조
- 진표: 민중불교, 점찰선악업보경을 통한 점찰법회, 미륵신앙운동, 금산사 창건
- 혜초: 인도 유학, 왕오천축국전 저술
- 원측: 당 유학, 유식사상 독자적 확립
6). 고려
- 태조 왕건: 도선의 조언으로 전국 500개 사찰을 세움,
(훈요십조)에 후왕들에게 불교를 보호하고 연등회, 팔관회 등 행사를 시행하고, 불사를 일으킬 것을 유언으로 남김.
- 광종: 불교를 국교, 승과 제도, 국사.왕사 제도화, 불교의례 정립.
- 균여: 남악파와 북악파로 나누어져 있던 '화엄종'을 통합함, <보현십원가>저술.
- 의천: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과 교종 융합 시도, '천태종'의 성립. <신편제종교장총록>저술.
- 지눌: 선종의 입장에서 선교양종의 통합 시도. '조계종'의 성립. - 일연: 삼국유사 저술. 선종융상운동 전개,
구산선문 문도회를 염.
- 고려중기: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 불림) 간행. 호국불교의 모습. 강화에 간경도감 설치.
- 고려말: 임제선이 태고보우와 나옹혜근에 의해 소개됨. '태고보우'가 임제선을 먼저 소개.
- 고려말 귀족불교는 왕실과 결탁하여 대토지와 노비를 차지하고, 소작, 양조업, 고리대금업 등을 통해
막대한 부를 형성하는 등 부조리와 타락상이 극에 달했다.
이에 공민왕때 편조 스님(신돈)이 과감히 개혁을 시도했으나, 권문세가의 반발로 실패함. 이에 유학적 소양을
갖춘 사대부들의 강력한 배불정책을 펴는 계기가 되었다. 정도전은 '불씨잡변'을 불교박멸 론을 펴기도 했다.
7). 조선
조선은 사대부가 권력을 잡자 성리학을 수용하고 일관되게 불교를 억압하는정책을 폈다.
- 태조 이성계: 무학대를 왕사로 추대, 한편 승려들의 출가 억제책으로 도첩제를 시행.
- 태종: 불교 탄압 본격화,왕사.국사 제도 폐지,왕릉인근 원찰세우는 관습 폐지, 여러종파를 7개동파로 통폐합,
사찰의 토지와 노비 몰수, 한편, 함허득통은 <현정론>, <유석질의론>을 지어 불교 배척론에 반론을 제기함,
- 세종: 유교를 국교,조계,천태,총남의 3종을 합하여 선종과 화엄,자은,중신,시흥의 4종을 합하여 교종으로
선교양종체제로 통폐합. 말년에 불교를 신봉 <월인천강지곡>지음.
- 세조: 불교보호정책, 원각사 창건, 간경도감 설치로 불경을 한글로 번역, 부처님의 우리말 일대기
<석보상절>을 간행,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을 합해 <월인석보>를 지음.
- 성종: 척불정책 강화, 간경도감 폐지, 도첩제 폐지로 출가 원천 봉쇄, 불교장례법 금지.
- 연산군: 불교탄압이 극에 달함. 승려의 관노화, 선교양종 본사 폐지 관사로 사용.
- 중종: 불교 최대 수난기. 한양의 모든 사찰 폐지, 국가토목공사에 승려 사역,
사찰의 종과 불상을 무기로 사용, 승과 폐지.
- 명종: 문정왕후의 섭정.보우 등용 불교보호정책.선.교양종 부활.봉은사를 선종,봉선사를 교종의 본찰로함.
승과제도 부활. 휴정과 사명스님 등 인재 배출.
- 선조: 임진왜란, 서산대사 승군단 왜병과 싸워 공을 세움, 사명대사 일본으로가 포로송환.
- 현종: 남한산성 수비를 보던 처능은 불교억압정책에 항의하여 상소.
* 승려- 진묵: 명종때 이적승(異蹟僧)으로 효성 지극. 석가모니의 화신, 술을 곡차(穀茶)라고 함.
- 부휴: 일생동안 수행과 제자 육성에 몸바친 수행자의 표본이 됨. 각성에게 법을 전함.
- 백파와 초의: 선운사의 백파 <선문수경>에 다도의 거장 초의는 <선문사변만어>를 지어 백파와 선논쟁을 함.
선에 관한 새로운 해석 시도.
- 초의: 다도의 대가, <송다송><다신전>을 저술. 대둔사 일지암 다도의 요람.
- 조선불교의 특징: 정토신앙 발달. 염불결사운동 성행. 8. 일제하의 불교
- 원종과 임제종의 성립
- 1895년 박영효 등의 상서로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됨. 1896년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성내원동에서
조선.일본승 합동법회를 열었다. 이를 계기로 조선불교를 친일화방향으로 선회한다.
- 원종: 1908년 전국승려대표가 원흥사에 모여 '원종종무소'설립. 초대 종무원장 이회광. 그리고,
그 해에 종로구 수송동애 각황사(覺皇寺: 조계사 전신)를 창건함. 후에 이회광은 일본불교에 한국불교를
흡수시키려는 친일권승으로 전락하고 만다.
- 1910년 10월 이회광은 국내 72개 사찰의 위임장을 가지고 일본으로 가 한일불교동맹 조약인
연합체맹(聯合締盟)을일본 조동종과 체결함. 조동종 위주의 불평등조약임.
- 임제종: 1911년 이를 안 조선승려들은 13도 주요사찰에서 반대운동이 일었고,
송광사 에서 전국승려대회를 열고 원종(圓宗)에서 독립하는 임제종(臨濟宗)을 출범시킴.
임제종은 개원 한달만에 조선총독부의 사찰령 반포로 간판을 내리게 되었다.
- 1912년 다시 한용운스님등이 주축이 되어 임제종 임시종무소를 동래 범어사에 옮겼다.
- 선학원: 1919년 임제종에 관여했던 한용운, 백용성스님 등이 안국동에 설립.
조선총독부 의 방해로 겨우 1934년에 '조선불교선리참구원'으로 인가받음.
- 항일운동: 만해 한용운스님을 당수(黨首)로 하는 비밀청년결사단체인 만당(卍黨)을 조직.
- 1922년: 교단의 정치화와 주지 횡포에 유학승 중심으로 자각운동이 일어나 '조선불교선교 양종중앙종무원'이
각황사에 설치됨. 이에 친일세력은 '조선불교중앙종무원'을 발족.
- 1925년: 양측의 화해로 '조선불교총무원'으로 통합.
- 조계종: 1941년 태고사(太古寺, 현 조계사)를 총본산으로 하는 '조계종(曹溪宗)'이 탄생. 초대종정-방한암스님.
- 경허: 근세불교 선조의 중흥조, 무애행, 최인호 소설 '길없는 길'의 주인공.
- 만해: 스님, 시인, 독립운동가, 백담사 출가. '조선불교유신론' 발표, '불교대전' 편찬.
<유심>지 발간, '님의 침묵' 출간, <불교>지 사장,
항일 독립단체 청년비밀결사단 체인'만당(卍堂)'을 김상호,김법린,최범린 등과 조직함.심우장(心牛莊)에서 입적.
- 용성: 3.1운동 33인 대표, 초의 찬불가 저술. 선학원 설립 주도, 대각사 창건, 선농울교 제창과 실천.
불교의 대중화 앞장.
8). 광복후의 불교
- 1945년 10월: 사철령(寺刹令)과 사법(寺法) 폐지. 교단정비, 광복후 초대종정 박한영스님.
- 불교정화운동: 비구승들의 선학원 중심 자주적 정화운동이 1954년 이승만대통령의 '불교 정화유시'로
정치권력에 악용되어 이후 비구와 대처간의 끊임없는 유혈 사태로 이어짐.
- 1954년 9월: 선학원에서 전국 비구승려대회를 개최하여 '비구승단'을 발족, 종정에 송만암 스님을 추대함.
이후 계속 비구와 대처측의 절뺏기 싸움이 지속됨.
- 1970년: 대처승단 태고종 출범.
- 1975년: 용태영변호사에 의해 '석가탄신일'이 국가공휴일로 제정됨. 조계종총무원 사건.
- 1980년: 10월27일. 전두환계엄군은 승려비리척결과 파벌싸움종식을 이유로 전국 사찰을 기습.
승려들을 무차별로 연행, 구속 감금시킴. 이를 '10.27법난(法難)'이라 함.
- 1983년: 신흥사 사건.
- 1988년: 일제때 발효된 '불교재산관리법' 폐지, 봉은사 사건.
- 1994년: 조계종 사태, 서의현총무원장 3선 저지 '개혁종단' 출범.
- 성철: 호는 퇴옹, 해인사에 백련람에 주석. 신심명.증도가를 접하고 발심. 대원사로 출가.동산을 은사.계사로함.
봉암사 결사.대승사.봉암사에서 장좌불와(長坐不臥)10년, 파계사에서 동구불출(洞口不出)10년, 56세 해인총림 방장, 백일법문 유명, 7대 종정. 가야산 호랑이, 1993년 해인사 퇴설당에서 입적. <선문정로>, <본지풍광>, <백일법 문>, <한국불교의 법맥>, <자기를 바로 봅사다> <신심명 해설> 등 저술. '산은 산 이요, 물은 물이로다'가 유명한 법어.
4). 선종사(禪宗史)
- 선의 기원: 부처님과 마하가섭사이의 삼처전심(三處傳心)
* 삼처전심(三處傳心) : 부처님이 세곳에서 가섭을 통해 이심전심으로 법을 전했다는 뜻.
(1) 영산회상거염화(靈山會上擧拈華): 부처님께서 가섭존자에게 법을 전할 때
말없이 연꽃 한송이를 들어 보이심. 이때 가섭만 미소지음.
(2) 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分半座): 부처님께서 다자탑 앞에서 설법하실 때,
뒤늦게 도착한 가섭에게 석존께서 자리의 반을 내어주심.
(3) 사라쌍수하곽시쌍부(沙羅雙樹下槨示雙趺): 부처님께서 쿠시나가라 사라쌍수 아래서
열반에 드신 후 늦게 도착한 가섭에게 관밖으로 두발을 내어 보임.
♥, 전등(傳燈)의 역사,
부처님->마하가섭->아난->...중략...->반야다라(27대)->보리달마(28대, 중국선종의 초조)
1조 달마: 양무제와 법거량, 소림사 9년면벽, 안심법문, 관심론, 혈맥론, 이입사행론
2조 혜가: 입설단비(立雪斷臂 혜가단비, 단비구법), 달마와 안심문답. 달마가 <능가경> 전수.
3조 승찬: 어릴 적 대풍질을 앓아 적두찬(赤豆璨)이라는 별명을 얻음. <신심명> 저술.
4조 도신: 14세에 승찬의 언하(言下)에 변오(便悟)함. 500대중을 거느려 선림(禪林)을 이룸.
5조 홍인: 7세에 도신에게가 사사. 수행후 심인(心印)을 얻음. '동산법문(東山法門)'으로 유명.
6조 헤능: 금강경의 응무소주 이생기심을 듣고 발심. 홍인의 제자됨. 홍인에게서 의발 전수,
조계산에서 선풍(禪風)을 날림. 신수 북종선와 혜능의 남종선이 맞섬. 후에 남종선 이 번창함.
이를 남돈북점(南頓北漸)이라 하여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로 구별됨.
♥, 조사선의 확립: 혜능아래 남악회양과 청원행사의 두 갈래
- 마조도일: 남악문하, 평상심이 도, 제자는 백장, 남전, 사당, 대주, 대매, 방거사 등등
- 백장회해: 백장청규(최초의 선문 생활규범, 현존하지 않음.) 일일부작 일일불식만 구전됨.
대중들이 함께 모여 생활하여 '총림(叢林)'아라는 것이 백장에서 비롯됨.
- 황벽희운: 백장의 제자. 백장으로부터 마조의 할을 듣고 그 자리에서 깨달음.
배휴가 편집 한 그의 법어집 '전심법요'와 '완등록'이 유명. 임제종의 종주 임제가 그의 제자.
- 임제의현: 마조의 조사선을 최극단까지 끌어 올림. 임제의 할(喝), 덕산의 봉(棒, 방망이) 은
선문의 대표적 본문(本分) 수단. 임제정신은 무위진인(無位眞人), 살불살조(殺 佛殺祖),
수처작주(隨處作主)에 여실히 나타남. 그의 선어록 <임제록>은 '선어록 의 왕' 한국불교도 임제정맥을 이은 것
- 조주스님: 남전보원의 제자. 조주고불, 무자화두, 뜰앞의 잣나무, 청주의 베옷, 진주의 무,
끽다거(喫茶去: 차나 마시고 가게),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의 무자화두는
종문 제 1공안처럼 보편화됨. 임제의 할, 덕산의봉과 더불어 조주의 선(禪)은 구순피선(口脣皮禪)이라함.
제자 문원의 <조주록>이 유명.
- 운문문언: 설봉의 제자, 운문종 개조. 일자관(一字關), 운문 호떡, 운문 일곡(一曲),
간시궐 (마른 똥막대기) 화두, '날마다 좋은 날(日日是好日)'은 운문의 법어.
- 천태지의: 천태종 개조. 천태삼대부인 법화문구. 법화현의. 마하지관 저술. 천태종은 법화 경 소의경전.
교리 제법실상의 삼제원융, 일심삼관, 일년삼천. 지관(止觀)수행.
- 현수법장: 두순.지엄에 이은 화엄종의 제 3조. 측천무후의 청으로 화엄경 강설. 현수 호를 받음.
'화엄경탐현기', '화엄오교장' 망진환원관, 유심법계기, 기신론의기 저술.
* 화엄사상은 징관, 종밀이 발전시킴. 사종법계, 법게연기, 십현연기, 육상원융을 전개함.
- 구마리집: 인도스님, 중국의 역경승. 13년간 경율론 74부 380여권을 한역함.
중국불교 발 전의 결정적 공을 세움. 삼론종 조사. 제자중 도생, 승조, 도융, 승예를 집문 4철.
- 현장스님: 당의 인도 유학승. 역경승. 날란타대학 계현에게 유가론, 인명론, 구사론 학습.
대반야경 등 75부 1335권을 한역함. <대당서억기>저술, 서유기는 이를 소설화.
- 한산스님: 한산시의 대가. 300여수가 전함, 한산시는 중국 선시의 효시로 평가함.
* 선의 황금기=> 오가칠종(五家七宗)청원아래서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이, 남악아래서 위앙종,
임제종이 나와 오가(五家) 형성. 임제종에서 양기파와 황룡파가 나와 오가칠종(五家七宗)을 이룸.
- 위앙종: 위산과 영산이 개창- 임제종: 임제의현 (간화선 추구)- 조동종: 조산과 동산 (묵조선 추구)
- 법안종: 법안문익- 운문종: 운문문언
* 간화선의 확립조사선이 '마조'로부터 '임제'까지 확립, 임제종이 중국선종의 주류가 형성,
'흥화.풍혈'로 이어지고, '분양.양기'에서 번창, '원오극근'과 '대혜종고'에 이르러 간화선이 확립됨. <전등록>
- 간화선: 임제종 계통, 화두(話頭), 견성성불 목적, 공안참구, 종주: 대혜종고
- 묵조선: 조동종 계통, 회광반조, 좌선 목적(只管打坐), 당처혜광, 선정후혜, 종주: 굉지정각
* 한반도의 선(禪)의 전래- 7세기 '법랑'이 도신의 법을 전함. 신라 '도의'가 당에서 서당지장으로부터
우리나라 최초 '남종선'을 전래시킴. 후에 고려중기 지눌이 최초로 간화선을 도입하고,
고려말 '태고보우' 선사가 '임제선'을 전해 '해동 임제종의 초조'가 됨. 나옹혜근도 지공에게서 법을 이음.
* 구산선문(九山禪門): 선학이 발전하여 신라때 전국 아홉군데 산에서 선문이 개창됨.
- 실상산문: 남원 실상사, 홍척국사, 우리나라 구산선문중 최초도량.
- 가지산문: 장흥 보림사, 체징국사, 도의국사가 종조.
- 사굴산문: 강릉 굴산사, 범일국사, 구산선문중 가장 번창.
- 동리산문: 곡성 태안사, 혜철국사.- 성주산문: 보령 성주사, 무염국사.
- 사자산문: 영월 흥녕사, 징효스님, 도윤국사가 능주 쌍봉사에서 종풍을 드날림.
- 희양산문: 문경 봉암사, 지증국사 도헌.- 봉림산문: 창원 봉림사, 현욱국사.
- 수미산문: 해주 광조사, 이엄존자, 고려 태조의 청으로 개산. (유일하게 고려초에 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