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

천간론

구담도인 2015. 8. 1. 22:05

 

 

★. 천 간 論 (天 干 論)

 

 

1. 간지(干支)의 생성원리

천간과 지지의 오행

 

中央

西

換節期

辰 戌

丑 未

 

 

간지(干支)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합하여 줄인말로 명리학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고문(古文)에 의하면 고대 중국의 성군(聖君) 황제(黃帝)께서 세상의 혼란을 평정하고자 목욕 재계한후

하늘에 제사 지내니 하늘이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를 내려주시어 그 후 세상이 평화스럽게

잘 다스려졌다고 전해진다.

 

 

천간(天干)은 하늘에서 흐르는 오행(五行)의 기운으로 양(陽)에 속하며, 지지(地支)는 사계절이 순행하는

순서로서 형체가 있고 질(質)이 있어 음(陰)에 속하며 이 땅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을 다 포함하고 있다.

천간(天干)이 하늘에서 내려준 기운이라면 지지(地支)는 이를 받아 땅에서 실현시키는 것이니

천간과 지지는 서로 뗄 수 없이 연관 지어져 있는 것이다.

 

 

천간(天干)은 하늘의 기운을 상징하는 기호와 같은 것이다. 즉 하늘의 음양오행의 법칙을 열 가지로

세분화 시켜 놓은 것으로 각각의 특성을 10가지 글자 속에 담아 나타내고 있다.

 

 

 

2. 천간(天干)과 오행(五行)

 

십천간(十天干)의 오행적 의미는 반드시 암기해 두어야 한다.

甲乙 木, 丙丁 火, 戊己 土, 庚辛 金, 壬癸 水 로 외우는 것이 이해 하기가 쉽다.

 

 

또한 앞의 것은 양간(陽干) 뒤의 것은 음(陰干)이라는 것도 알아 두어야 한다.

陽干: 甲 丙 戊 庚 壬  

陰干: 乙 丁 己 辛 癸